양평 연세푸르른소아청소년과

로그인 및 관련 설정

로컬메뉴

     

호흡기 및 알레르기 질환

호흡기 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호흡기 질환 환자 이미지

blet감기
감기에 자주 걸리는 경우는 감기 환자와 많이 접촉하거나,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아이들은 1년에 6~8회 정도 감기에 걸리며, 1년 동안 감기를 달고 사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감기는 여러 가지 바이러스나 세균이 신체접촉, 공기 또는 콧물이 묻은 손이나, 손수건, 휴지 등을 통하여 전염되며, 스트레스/공해 등은 감기를 잘 걸리게 하고 증상을 심하게 만듭니다.

sub_blet 감기 예방법
· 손을 자주 씻고, 얼굴을 만지지 않습니다.
· 특히 외출 후 손/발을 닦고 양치질을 합니다.
· 코를 닦을 때는 휴지를 사용하고, 될 수 있으면 손수건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감기가 유행하는 시즌(환절기)에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방문하는 것을 피합니다.
· 충분한 수면과 숙면을 취하며, 충분한 운동과 영양섭취를 통해 기초체력을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를 5도가 넘지 않도록 주의하며 실내가 너무 건조해 지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blet콧물/코막힘
이따금 발생하는 재채기와 함께 콧물을 흘리는 증상이 있으면 대부분 단순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며, 코가 막히는 것은 감기 때문인 경우가 많지만 만성비염이 있어서 주기적으로 막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한쪽 코에서 피가 포함된 콧물이 나는 경우에는 코내 이물질을 생각해야 하고, 코속에 혹이 있거나 비후성 비염, 비중경이 좁혀져 있는 경우, 아데노이등과 같이 구조적으로 폐쇄가 있는 경우에도 코막힘의 증상이 있으며 재채기와 콧물이 많이나는 알레르기 질환일 수도 있습니다.

blet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보통 사람에게는 문제 되지 않는 외부 물질에 대하여 신체가 과도하게 면역 반응을 보이며 증상을 나타내는 이상면역반응의 일종입니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을 “알레르겐”이라고 하며, 알레르겐에 의한 알레르기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아토피, 알러지 비염, 천식 등을 들 수 있습니다.

sub_blet 알레르기 비염
· 증상 :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
· 원인 : 봄철 잔디나 잡초 꽃가루, 계절 변화 등
· 특징 :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많아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sub_blet 천식
· 증상 : 호흡장애, 만성기침, 천명 등
· 원인 :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 특징 : 면역체계 혼란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 발작적으로 나타납니다.

sub_blet 아토피
· 증상 : 홍조를 띄며 가려움증과 함께 피부 껍질이 일어남
· 원인 : 선천적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 보호막 이상, 환경적 요인 등
· 특징 : 주로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과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입니다.

알레르기 검사
알레르기 증상이 있다면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물질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여 피하도록 합니다. 혈액채취를 통해 간단히 알레르기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결과는 4~5일 내로 통보됩니다.

 알레르기 증상
알레르기 증상, 재채기, 콧물, 코 막힘, 코와 눈의 가려움, 눈물, 기침, 호흡곤란, 위장장애, 설사, 구토, 복통, 야뇨, 빈뇨,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등

재채기, 콧물, 코 막힘, 코와 눈의 가려움, 눈물, 기침, 호흡곤란, 위장장애, 설사, 구토, 복통, 야뇨,
빈뇨,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등
 알레르기 질환의 일상관리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물질 (항원)을 피합니다.
 찬물이나 찬 공기에 갑작스러운 접촉을 피하고, 오래 노출시키지 않으며, 찬 음식은 가급적
   피하도록 합니다.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키우지 않습니다.
 속을 채워 넣은 소파, 의자와 양탄자, 두꺼운 커튼 등을 치웁니다.
 손톱을 짧게 깎아 피부를 긁지 않게 합니다.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고, 지나친 습도나 건조한 환경을 피합니다.
 정신적 안정이 필수적입니다.
 의복에 주의 : 지나치게 달라붙는 옷, 합성섬유를 피합니다.
 비누는 중성비누를 사용합니다.
 목욕을 자주 하지 않습니다.
 특히 소아는 저항력과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blet연세푸르른소아청소년과 검사항목
성홍열, 호흡기 바이러스, 세균검사, 폐기능

소아 질환은 소아청소년 전문의가 가장 잘 압니다. 전문의와 상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