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클리닉
아이들의 성장은 시기가 중요합니다. 우리아이 성장 놓치지 마세요!
저신장증
어떤 아이가 성장 검사가 필요한가요?
· 출생 체중이 작은 아이
· 키가 매년 4cm 미만으로 자라는 경우
· 또래에 비해 키가 많이 크거나, 작은 아이
· 아이의 키가 갑자기 또래에 비해 커지거나 작아질 때
· 부모의 키에 비해서 아이의 키가 작을때
· 부모의 키가 작거나 초경을 일찍 했을 때
어떤 검사가 필요한가요?
최우선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아이의 영양 상태를 확인하고 키를 잘 자라지 못하게 하는 다른 원인 질환이 있는지 알아보아야 합니다.
또한, 성장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에 이상이 없는지에 대한 검사도 함께 하게 됩니다.
왼손바닥의 방사선 사진(뼈나이)으로 아이가 자신의 나이에 맞게 자라고 있는지 평가해볼 수 있습니다.
키를 잘 자라지 못하게 하는 질환은 어떠한 것이 있나요?
· 가족성 저신장
나이에 비해서 키는 작지만 성장속도는 정상입니다. 부모나 친척 가운데 키가 작은 사람이 있는 경우입니다.
유전이 되며 성인이 되어서도 저신장이 지속됩니다.
검사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이고, 뼈나이도 본인의 나이와 같습니다. .
· 체질성 성장지연
나이에 비해서 키는 작지만 가족성 저신장과 다른 점은 뼈나이가 본인의 나이에 비해서 늦습니다.
· 성 조숙증
사춘기가 이른 나이에 오기 때문에 나이에 비해서 키가 큰 아이들도 있지만, 성장판이 일찍 닫혀버리므로 성인신장은 작아집니다.
검사에서는 사춘기 호르몬의 증가가 관찰되고 뼈나이도 자기 나이보다 빠릅니다.
· 태아 발육 부전
임신기간 동안에 뱃속에서 잘 자라지 못하여 출생 체중이 작은 아이는 저신장이 지속되고 다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성장과 발달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해 보아야 합니다.
· 성장 호르몬 결핍
선천적으로 성장호르몬이 부족하면 키가 자라지 못하게 됩니다.
이러한 아이들은 성장호르몬을 투여하면 정상적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 호르몬 이상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성 호르몬이 과다하게 되면 저신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영양결핍 / 만성질환
식습관이 바르지 못하거나 만성적인 질환이 있는 아이들은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잘 자라지 못하게 됩니다.
키가 크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운동
적당한 운동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도와줍니다.
달리기, 줄넘기, 수영, 테니스, 자전거 타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이 좋으며 꾸준히 즐겁게 할 수 있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스트레칭도 도움이 됩니다.
· 식습관
- 골고루 잘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3대 영양소를 균형있게 섭취해야 합니다.
- 뼈가 자라기 위해서는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 섭취도 중요합니다.
-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고 간식은 줄이며 과일이나 채소도 잘 먹어야합니다.
- 지나치게 칼로리가 높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면습관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수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수면의 양도 중요하지만 수면의 질도 중요합니다.
특히, 성장호르몬은 밤 10시부터 새벽 2시 사이에 주로 분비되기 떄문에 이 시간에 숙면을 하려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야합니다.
키가 크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저신장의 원인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성장호르몬 결핍증이 있으면 성장호르몬을 투입하게 됩니다. 치료를 일찍 시작할수록 치료효과가 좋습니다. 주사로 매일 투여하기 떄문에 집에서 주사를 맞습니다.
사춘기가 일찍 시작하는 성조숙증이 있다면 사춘기를 늦추는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4주 간격으로 주사를 투여하며 치료 기간은 아이마다 다르기 떄문에 정확한 검사를 필요로 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함으로써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
여아에서 만 8세 이전에 유방발달이 시작되거나 남아에서 만 9세 이전에 고환발달이 시작되는 경우 성조숙증이라고 부릅니다. 대부분은 특발성이지만 일부에서는 뇌 및 생식기의 구조적인 문제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치료하지 않는 경우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손부위의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뼈나이를 측정하고 실제나이보다 뼈 성숙도가 빠른지 확인합니다. 필요시 3차 의료기관에서 뇌하수체 호르몬 검사 및 뇌 MRI, 복부 초음파 등 정밀검사를 진행하고 성호르몬 억제 치료 여부를 결정합니다.